오늘은 자바의 기본 개념에 대한 내용으로 포스팅을 다뤄 보겠습니다.
먼저 자바 변수는 크게 3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.
|
작성 이력
최초작성 17.12.18
1차 수정 18.01.09 ( 전역 변수 정의 추가 )
클래스 변수
클래스 변수는 클래스 영역에 존재하는 변수로 필드 혹은 정적멤버 라고도 합니다 |
class People{
static int nowYear=2017;//클래스 변수
}
위와 같은 People 클래스의 nowYear은 클래스 변수로써 객체 생성 없이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정적 멤버라고도 합니다. 그리고 클래스 변수는 모든 객체가 동일한 값을 갖습니다. |
People.nowYear
인스턴스 변수
인스턴스 변수는 클래스 변수와 같이 클래스 영역에 존재하는 변수로 멤버 변수라고도 합니다. 클래스를 객체화 한 것을 인스턴스라고 부르며, 그렇기 때문에 인스턴스 변수는 클래스의 객체 생성 없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. |
class People{
static int nowYear=2017;//클래스 변수
int old;//인스턴스 변수
}
인스턴스 변수는 아래처럼 객체 생성 후 각 객체마다 다르게 값을 지정 할 수 있습니다. |
People people1=new People();
people1.old=27;
지역 변수
지역 변수는 클래스 변수, 인스턴스 변수 외 모든 변수들을 일컫는 말로 '{}' 중괄호 사이에서 선언 및 초기화를 거치고 중괄호가 끝나면 사라집니다. |
{
People people1 = new People();
people1.old = 27;
int money = 1000;//지역 변수
}
전역 변수(18.01.08)
전역 변수를 검색 해보면 어떤 영역에서도 접근 가능한 변수라고 칭하는데, 실질적으로 자바에서 전역 변수는 지원하지 않습니다. 다만 static 키워드를 사용해 전역변수와 같이 사용합니다. |
public class A{
public static int a; //통상 쓰이는 전역 변수
}
※지역변수와 멤버 변수명이 겹칠때 우선순위는 지역변수가 높습니다.
※해당 포스팅은 지극히 주관적인 내용으로 저자의 복기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고, 내용에대해 수정이나 추가 요청은 언제든 환영합니다.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페이스북 홍보하기 (0) | 2018.02.25 |
---|---|
[자바/JAVA] 자바의 객체지향 이점 (2) | 2018.01.05 |
[자바/Java] 오버로딩과 오버라이딩 (0) | 2018.01.02 |
[안드로이드/Android] 개인정보 보호법 (0) | 2017.11.14 |
맥으로 SHA1 서명 얻기 (0) | 2017.04.11 |